생활속의 전통민화

바램 6폭 (Vase of Happiness)

생활속의 전통민화

우리는 외국 명화 그림에 주로 많이 익숙해져 있습니다. 서양의 명화와는 다른 독특한 느낌의 동양적인 그림이 있죠. 우리 민중들의 생각이 그대로 반영된 가장 한국적인 그림. 옛스러우면서도 고풍스러움이 가득 담겨 있는 그림. '민화'의 매력을 느껴보세요.


[액자포함] 화접도 2폭 세트 (마운팅베이지)

화접도

화접도는 꽃과 나비를 조합하여 그린 그림입니다. 사랑하는 이와 풍요롭게 오래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을 그림으로, 그림 속의 괴석은 장수를, 모란은 부귀영화를, 이리저리 노니는 나비는 부부간의 기쁨과 사랑을 의미합니다.


일월오봉도

오봉도

오봉도란 한자어 그대로 다섯 산봉우리를 그린 그림이란 뜻입니다. 조선시대에는 금강산, 묘향산, 지리산, 백두산, 삼각산을 의미 하였습니다. 두 줄기로 흐르는 폭포와 다섯 봉우리의 산, 소나무로 이뤄져 있는 이 그림은 좌우대칭형식을 취하여 매우 장엄한 느낌을 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화면 속 소나무는 변치않는 푸르름으로, 돌과 바위는 거센 풍상 속에서도 변함없는 꿋꿋함으로 지조를 지키는 곧은 선비로, 수석은 십장생의 하나미여 장수를 상징합니다.


모란도 1

모란도

모란은 꽃 중의 왕으로 일컬어지며 그 자태의 화려함으로 인해 부귀(富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모란 그림은 주로 병풍으로 꾸며서 신방이나 안방 장식에 쓰였고 제례용이나 궁중에까지 다양하게 사용되었습니다. 혼례식에서 쓰인 모란병풍의 그림에는 벌이나 나비를 함께 그리지 않고 단독으로 모란만 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란도에 그려진 꽃은 여자 혹은 신부로 괴석은 남자 혹은 신랑으로 비유해서 음양사상으로 풀이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그래서 모란도 병풍은 혼례 때 외에도 신혼부부의 신방을 장식하거나 회갑 같은 좋은 날에 쓰였습니다. 일연(一然)이쓴 삼국유사에 전하는바에 의하면, 삼국유사에는 "당나라 초에 당태종 이세민이 모란꽃그림과 꽃씨를 신라로 보내왔는데 덕만공주(후의 선덕여왕)가 그림을 자세히 들여다 보고는 '꽃그림에 나비가 없으니 이 꽃은 향기가 없을 것이다'라고 했는데, 씨를 심어 꽃이 피고보니 과연 그러했다" 라고 적고 있습니다. 그런 일화로모란에 벌과 나비를 그리지 않는 것인지 모란에 향기가 없다고 믿게되어 벌이나 나비를 함께 그리지 않는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분명한 사실은 모란은 향기없는 꽃이 아니라는 점이며 모란꽃에도 벌이나 나비가 찾아듭니다.


책가도 4폭 1

책가도

책가도는 선비사상과 자녀 면학열을 고취하기 위해 각종 문구와 서적을 그려 넣었던 그림을 말합니다. 위 작품은 책가도 작품 중에서도 전형적인 초기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서책을 중심으로 진열된 여러가지 진귀한 기명과 문구 등이 입체감 있게 표현되었습니다. 문인취향의 서책과 문방구류 외에도 기복과 장수를 염원하는 상징물이 첨가되었고, 당시 고급 수요자들의 서화고동 애호풍조와 호사스런 취미가 잘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WHHACHHO 화조도 파랑 (스타트업 협찬그림)

화조도

부귀와 장수, 합격 승진 등 다양한 소망이 담겨있으며 부부가 일편생 맺어지길 바라는 마음 외에도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정겹고 후덕한 경사만 이어지길 기원하는 의미들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십장생도

십장생도

십장생은 불로장생의 상징인 열가지 물상, 즉 해, 구름, 물, 돌, 소나무, 대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등을 말하고 모든 장생물로 자연숭배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옛 사람들은 이를 좋아하여 시문, 그림, 조각 등에 많이 이용하였고 민화에서는 열 가지 장생물을 한 화면에 배치하여 장생도(長生圖)라 이름 붙이고 세화로 그리기도 하고 회갑잔치를 장식하는 수연병풍(壽宴屏風)으로 쓰기도 했습니다. 많은 종류의 나무들이 있는데 유독 소나무만이 그림의 소재로 자주 등장했던 이유는 쉽고 친근하게 대할 수 있다는 점과 연관이 있겠으나 사시사철 푸른빛을 간직함으로써 절개나 지조, 십장생의 하나로 불로장생, 정월(正月), 새해등을 뜻하기도 하여 세화(歲畵)로도 많이 그렸습니다.

십장생도
십장생도
25.8 x 40.0 cm
32,600원 ~
POD
일월오봉도
일월오봉도
50.0 x 21.4 cm
33,100원 ~
POD
모란도 1
모란도 1
40.0 x 29.4 cm
34,800원 ~
POD
책가도 4폭 1
책가도 4폭 1
40.0 x 29.1 cm
34,600원 ~
POD
WHHACHHO 화조도 파랑 (스타트업 협찬그림)
WHHACHHO 화조도 파랑 (스타트업 협찬그림)
30.0 x 30.0 cm
30,800원 ~
POD
화접도 2폭 세트 (마운팅베이지)
[액자포함] 화접도 2폭 세트 (마운팅베이지)
48.3 x 100.0 cm
425,800원
10% 383,200원
아트프린트